반응형
시스템이 설정파일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눅스를 배우기 전에 설정 적용 순서를 알고 가시면 더욱 리눅스를 다루기 쉬워 집니다.
각각 목적이 다른 설정파일을 보겠습니다.
설정파일 적용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적용순서 | 파일명 | 설명 | 파일접근순서 |
1 | /etc/profile | 관리자가 시스템에 적용하는 전역 환경 설정 파일 System wide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for login setup 로그인 설정을 위한 시스템 전체 환경 및 시작 프로그램 즉,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최상위 설정 값입니다. |
1 |
2 | /etc/profile.d/ | profile을 수정하지 않고 수정하고 싶은 내용은 커스텀하여 /etc/profile.d/커스텀.sh로 작성합니다. profile은 merge 업데이트 중 예방을 위해 건드리지 않습니다. |
2 |
3 | /etc/bashrc |
관리자가 시스템에 적용하는 전역 환경 설정 파일 System wide Functions and aliases 시스템 전체 함수 및 별칭 |
5 |
4 | ~/.bashrc | 사용자 함수 및 별칭 지정 | 4 |
5 | ~/.bash_profile | 사용자 환경변수 및 시작 프로그램 지정 |
3 |
적용 순서와 파일 접근 순서는 다릅니다. 혼동에 주의하세요.
su 명령에 따라 접근하는 경로가 조금 다릅니다.
su - : 로그인 쉘로 입력된 계정에서 새로운 환경으로 시작합니다.
profile -> bashrc -> .bashrc -> .bash_profile
su : 현 계정에서 글로벌 환경변수는 놔두고 사용계정 설정만 적용됩니다.
bashrc -> .bashrc
반응형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그룹 관리 (0) | 2022.04.25 |
---|---|
[리눅스] 사용자 관리 (0) | 2022.04.25 |
[리눅스] timezone 한국 표준시로 변경하기 (0) | 2022.04.11 |
[리눅스] 배포판이란? (0) | 2022.04.11 |
[리눅스] 특정 단어 줄임말 또는 명칭 (0) | 2021.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