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특수 권한이 아닌 일반 권한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2021.10.17 - [리눅스/명령어] - [리눅스/명령어] "chmod"로 파일 권한을 주자!
특수 권한은 말그대로 일반사용자, 그룹사용자, 외부사용자의 일반 권한이 주지 못하는
특수한 권한을 부여함을 말한다.
파일/ 디렉터리 permission은 "----------" 10개의 표시로 나타내고 총 16비트를 나눠서 표시된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권한 표시
파일종류 | 소유자 접근권한 | 그룹 접근권한 | 기타 사용자 접근권한 | ||||||
-,d,c,b,s,l,p | 4 | 2 | 1 | 4 | 2 | 1 | 4 | 2 | 1 |
r | w | x | r | w | x | r | w | x |
우리가 통상적으로 "ls -l"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표시 방법이다.
(파일 종류는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위의 표시는 분명히 10개이다. 그런데 위에서는 총 16비트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위와 조금 다른점이 있지 않은가?
각 일반 권한 4(파일종류) + 3(사용자권한) + 3(그룹권한) + 3(기타권한) 이어도 16이 되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3비트가 바로 특수권한에 사용되는 비트이다.
비트로 표현
파일종류 | 특수권한 | 소유자 접근권한 | 그룹 접근권한 | 기타 사용자 접근권한 | ||||||||
-,d,c,b,s,l,p | 4 | 2 | 1 | 4 | 2 | 1 | 4 | 2 | 1 | 4 | 2 | 1 |
setuid(s) | setgid(s) | sticky bit(t) | r | w | x | r | w | x | r | w | x |
특수권한 비트가 설정되면 해당 문자가 각 권한 실행권한(x)가 특수 권한 비트로 변경된다.
1 : sticky bit는 파일의 소유자와 root권한자만 삭제 가능하도록 설정 비트이다.
- 소유자(u)의 실행권한(x)에 x대신 "s"가 설정됨
2 : setgid는 그룹의 권한을 임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트이다.
- 소유자(g)의 실행권한(x)에 x대신 "s"가 설정됨
3 : setuid는 사용자의 권한을 임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트이다.
- 소유자(o)의 실행권한(x)에 x대신 "t"가 설정됨
반응형
'리눅스 > 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명령어] man에 관하여 (0) | 2022.04.17 |
---|---|
[리눅스/명령어] 리눅스 도움말 (0) | 2022.04.17 |
[리눅스/명령어] "chmod"로 파일 권한을 주자! (0) | 2021.10.17 |
[리눅스/명령어] passwd와 chage의 차이점 (0) | 2021.10.11 |
[리눅스/명령어] 암호와 관련된 명령어 passwd (0) | 2021.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