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에어팟 낮은 볼륨 높이기
·
리눅스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실행 sudo systemctl edit --full bluetooth.service ExecStart=/usr/lib/bluetooth/bluetoothd --> ExecStart=/usr/lib/bluetooth/bluetoothd --noplugin=avrcp 뒤에 --noplugin=avrcp 입력 후 재부팅 하면 해결!
[리눅스] 로그인 쉘, 비로그인 쉘 / login shell, non-login shell
·
리눅스
환경설정 경로: 2020/06/27 - [리눅스] - [리눅스] 환경설정 및 경로 로그인 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shell을 실행하는 것을 말함. ssh로 접속하거나 로컬에서 GUI 로그인화면을 통해 shell을 실행하는 것 .profile, .bash_profile 두 파일은 로그인할 때 로드되는 파일. .profile은 꼭 bash가 아니더라도 로그인하면 로드 / .bash_profile은 꼭 bash로 로그인 할 때만 실행 비로그인 쉘 로그인 없이 shell을 실행 ssh로 접속 후 다시 bash를 실행, GUI 세션에서 터미널을 띄울 때
[리눅스] sudo, su의 차이점
·
리눅스
일회성 권한 sudo 현재 계정에서 root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 사용자가 한 번 root에 준하는 권한을 가짐 슈퍼유저, 관리자 권한을 가지지만 해당 사용자가 내리는 명령 사용자의 group에 sudo가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 사용자의 group을 확인할 때, 아래 명령어를 입력 $ groups # root 명령어를 사용할 시 sudo를 가장 앞에 입력하고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sudo chwon사용자 계정에 접근 su # 사용중인 계정의 환경변수를 적용 # 비로그인 쉘 $ su [사용자 계정] # 접속할 계정의 환경변수 적용 # 일반적으로 이것을 사용함 # "-"은 "-l" 의 단축어입니다. # 로그인 쉘 $ su - [사용자 계정] # 사용자 계정 없이 접속하면 root로 접속 된다. ..
[리눅스] 환경설정 및 경로
·
리눅스
환경설정 Path 설정을 정리해보자.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bash, shell, profile ... 등 많은 path와 관련된 용어를 듣게 된다. (단순히 생각해보면, 코딩에서도 전역 설정 후 메인 함수로 들어가게 되듯이 이 또한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리눅스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bash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전체환경을 설정하는 전역 환경설정을 하게되고 개인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있는 시작 파일을 읽어 환경설정을 덮을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개인 사용자를 언급하였다. 개인 사용자라함은 로그인한 상태를 말한다. 자, 그럼 로그인과 비로그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 로그인과 비로그인은 로그인 쉘 세션/ 비로그인 쉘 세션으로 표현한다. 로그인 쉘과 비로그인 쉘 경로의 차이를 살펴보자. 로그인 쉘 경로: ID와..
[리눅스]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하는 법
·
리눅스
1. 비밀번호를 바꾸는 방법은 간단 우선 명령어 하나 알고 가자 passwd 아래 명령어 사용법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간단히 바꿀수 있다. #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passwd # 다른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passwd # 그룹 사용자 비밀번호 벼경 passwd -g ''는 임의의 값을 입력하면된다.
[리눅스] 디렉토리 설명(아주 중요!!!)
·
리눅스
들어가기 앞서... 우선 간단히 os에 따른 디렉토리(폴더)의 구분이 다릅니다. 윈도우는 폴더(folder)라 불리며 역슬래시(\)를 사용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diretory)라 불리며 슬래시(/)를 사용합니다. 리눅스 초보자들 기준에서 디렉토리 구분이 주용한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초보자들은 명령어를 사용만할 뿐 어디서 어떻게 명령어가 설정되어있는지 자세히 모릅니다. 각각의 명령어들은 디렉토리별로 분리되어 용도에 맞게 저장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왜 분리되어 있는지를 디렉토리 구별을 통해 아! 왜 이렇게 되어있는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또한, 명령어 뿐만아니라 백업, os만 포맷하고 데이터를 보존하든지, 어떤 사용자에 대해서 권한을 어떻게 줄지 등등 디렉토리 구별을 통해서 분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
[리눅스] LAMP(LAMP 번들)란?
·
리눅스
LAMP는 웹사이트나 서버 운영에 자주 쓰이는 소프트웨어들의 이름을 합한 약자다 Linux(리눅스 운영체제) Apache(아파치 웹 서버) MySQL / MariaDB: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데이터베이서 서버) PHP, Perl 또는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 이러한 용어가 생긴 이유와 인기있는 이유, 현재 저렴한 도입 비용으로 모두 자유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비용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고 관리 패키지를 쉽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눅스/명령어] tar 구조와 사용방법
·
리눅스/명령어
개요 이 포스팅은 tar의 구조를 파악하고 옵션 사용법을 숙지합니다. 1. tar란? 2. tar 옵션 1. tar란? 들어가기 앞서, tar의 본질은 압축이 아닙니다. tar는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단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약어로 명명됩니다. tar의 t(tape, 테이프)는 과거의 저장 장치인 테이프로 백업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tar의 ar(archive, 아카이버)은 통상적으로 "여러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합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즉, tar는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을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용량변화 없이 하나로 모으는 것) 사실 tar라는 기능은 유닉스가 메인프레임 같은 중대형 컴퓨터용이었고,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다 보니 생긴 기능입니다. tar를 ..
[리눅스] 리눅스 민트 19.04로 원격 접속
·
리눅스
개요 Windows 10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리눅스 민트 19.04 cinnamon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1. 원격 접속 환경 2. 원격 접속 패키지 설치 3. 원격 접속 실행 1. 원격 접속 환경 클라이언트(접속시도) : Windows 10 서버(원격접속) : Linux Mint 19.04 "Tricia" cinnamon(edition) 2. 원격 접속 패키지 설치 ※ Windows 10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 프로그램은 내장되어 있기에 추가적인 설치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 1. 터미널 실행 Ctrl + Alt + t # 2. 리눅스 관리자(root) 접속: 생략가능 # 생략할 시 root 권한이 필요한 명령어들은 앞에 sudo를 사용 $ su - # 3. 리눅스 업데이..
[에디터] Vi / Vim 단축키 모음
·
리눅스/Vim